정부에서는 부모의 양육 부담을 줄이기 위해 부모급여, 아동수당, 양육수당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아이를 출산하면 어떤 지원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 확인 하고 각 지원금의 차이점, 신청 방법, 지급 금액을 상세히 정리해 드립니다.
🔍 지원금별 핵심 정보 요약
✔ 부모급여: 만 0세 미만 아동에게 월 100만 원 지급
✔ 아동수당: 만 8세 미만 아동에게 월 10만 원 지급
✔ 양육수당: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는 가정에 월 10만 원 지급
각 가정의 상황에 따라 최적의 지원금을 신청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1. 부모급여 – 가정에서 키우면 최대 100만 원!
📌 부모급여는 아동의 연령과 양육 방법에 따라 지급 금액이 다릅니다.
✔ 만 0세 아동(출생일부터 12개월까지): 월 100만 원 지급
✔ 만 1세 아동(13개월부터 24개월까지): 월 50만 원 지급
📢 어린이집을 이용하면 지원금이 줄어들까요?
✔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 보육료 바우처를 제외한 차액이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 만 0세 아동
- 부모급여 100만 원 - 보육료 바우처 54만 원 = 차액 46만 원 현금 지급
- 만 1세 아동
- 부모급여 50만 원 - 보육료 바우처 47.5만 원 = 차액 2.5만 원 현금 지급
📌 지급일
✔ 매월 25일, 등록된 계좌로 입금
✔ 25일이 주말·공휴일이면 앞당겨 지급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 방문 신청: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부모급여는 가정 내 양육 및 보육시설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지원됩니다.
2. 아동수당 – 만 8세까지 매월 10만 원!
✔ 지원 대상: 만 8세 미만(0~95개월) 모든 아동
✔ 지원 금액: 월 10만 원 지급
✔ 소득 기준 없음, 대한민국 모든 아동 지원 가능!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 방문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출생신고 후 언제든 신청 가능하며, 신청한 달부터 수당이 지급됩니다!
📌 지급일
✔ 매월 25일, 계좌로 입금
3. 양육수당 – 어린이집 이용 안 하면 지원 가능!
✔ 지원 대상: 어린이집·유치원 등 보육시설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하는 아동
✔ 지원 금액:
- 24~86개월 미만 : 월 10만원 지급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복지로
✔ 방문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지급일
✔ 매월 25일, 계좌로 입금
📢 어린이집·유치원을 이용하면 보육료 지원을 받을 수 있지만, 양육수당은 지원되지 않습니다.
4. 부모급여 vs 아동수당 vs 양육수당 – 뭐가 다를까?
구분지원 대상지원 금액지급일중복 지원 여부
부모급여 | 만 0세 (24개월 미만) | 50~100만 원 | 매월 25일 | 아동수당, 양육수당과 중복 가능 |
아동수당 | 만 8세 미만 (0~95개월) | 10만 원 | 매월 25일 | 부모급여, 양육수당과 중복 가능 |
양육수당 | 어린이집 미이용 아동 (만 2~6세) | 10만 원 | 매월 25일 | 부모급여와 중복 불가 |
📢 부모급여와 아동수당은 중복 수급이 가능하지만, 양육수당은 부모급여와 중복되지 않습니다.
5. 주민센터 방문 시 필요 서류
📍 ① 주민등록등본 (최근 3개월 이내 발급 필수!)
✔ 부모와 출생 아동의 주민등록상 거주 여부 확인을 위한 필수 서류
✔ 반드시 최근 3개월 이내 발급분만 인정됨
✔ 부모와 아동이 동일 세대일 경우에만 지원 가능
✔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비공개 가능 (단, 세대 구성원 확인 필수)
📌 발급 방법:
✅ 온라인 발급: 정부24 (https://www.gov.kr) → ‘주민등록등본’ 검색 후 출력 가능
✅ 오프라인 발급: 가까운 주민센터 방문 후 신청
📢 주민등록상 부모와 아동의 주소가 다를 경우, 추가 서류 제출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② 출생증명서
✔ 출생한 아동이 실제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필수 서류
✔ 출생 후 출생신고를 완료한 경우에만 발급 가능
📌 발급 방법:
✅ 온라인 발급:
- 정부 24://www.gov.kr) → ‘출생증명서’ 검색 후 신청 가능
✅ 오프라인 발급: - 해당 아동의 출생을 담당한 병원, 보건소, 동 주민센터 방문 발급 가능
📢 출생신고를 마치지 않은 경우, 신청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신고 후 발급받아야 합니다.
📍 ③ 신청인(부모) 신분증 사본
✔ 본인 확인 및 신청인의 법적 보호자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필수 서류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하나 제출 가능
📌 발급 방법:
✅ 기존 소지 신분증을 스캔 또는 촬영하여 제출
📢 대리 신청 시 대리인의 신분증과 위임장도 추가 제출 필요 합니다.
📍 ④ 본인 명의의 계좌 정보 (부모급여 수령용)
✔ 부모급여를 수령할 본인 명의 계좌 정보 제출 필수
✔ 공공기관의 확인을 위해 계좌번호가 명확히 보이는 서류 첨부 필요
📌 발급 방법:
✅ 은행 모바일 앱 또는 인터넷뱅킹에서 계좌 확인서 출력 가능
✅ 은행 창구 방문 후 계좌 확인서 발급 요청 가능
📢 부모급여는 부모 명의 계좌로만 입금 가능하며, 타인 명의 계좌로 신청 불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