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신청방법부터 지원금액까지 총정리!

by normal-one 2025. 2. 16.

최근 전기차의 인기가 급증하면서 많은 분들이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기차는 초기 비용이 높은 만큼 정부와 지자체의 보조금 혜택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서울시는 2025년에도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다양한 보조금 지원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의 지원 내용, 신청 방법, 유의사항 등을 상세히 정리해 드립니다.

2025년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지원금액

1.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개요

서울시는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을 장려하기 위해 전기승용차, 전기화물차, 전기버스를 대상으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보조금은 차량 가격, 성능, 배터리 안전성 등에 따라 차등 지급되며, 추가적인 지원 조건도 존재합니다.

1) 지원 대상

서울시에 30일 이상 거주한 개인 또는 사업장이 위치한 법인 및 공공기관이라면 신청 가능합니다.

2) 보조금 지원 차종

  • 전기승용차
  • 전기화물차 (소형 및 초소형)
  • 전기버스 (시내버스, 마을버스, 어린이 통학버스 등)

3) 주요 혜택

  • 친환경 차량 보급 확대를 위한 보조금 지원
  • 배터리 안전성 강화 조건 충족 시 추가 보조금 지급
  • 청년층 및 특정 조건 충족 시 추가 인센티브 제공
 

2. 차종별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

서울시는 전기차의 가격, 성능, 환경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조금을 차등 지급합니다.

1) 전기승용차 보조금

  • 최대 지원 금액: 630만 원 (국고 보조금과 별도)
  • 차량 가격별 차등 지원:
    • 5,300만 원 미만: 보조금 100% 지급
    • 5,300만 원 이상 8,500만 원 미만: 보조금 50% 지급
    • 8,500만 원 이상: 보조금 미지원
  • 추가 지원 조건:
    • 배터리 이상 징후 알림 기능 탑재 및 제조사 4년 무상 지원 시 20% 추가 보조금
    • 청년층이 생애 최초 전기차 구매 시 국비 보조금의 20% 추가 지원

2) 전기화물차 보조금

  • 최대 지원 금액: 1,350만 원
  • 추가 혜택:
    • 제조·수입사가 차량 가격 50만 원 할인 시 서울시가 50만 원 추가 지원
    • 택배 차량의 경우 추가 50만 원 지원 (최대 150만 원)

3) 전기버스 보조금

  • 시내·마을버스: 최대 1억 4,000만 원 지원
  • 어린이 통학버스: 최대 1억 5,000만 원 지원
  • 순환·통근버스: 최대 1억 4,000만 원 지원
 

3. 서울시 전기차 보조금 신청 방법

전기차 보조금을 신청하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대로 진행 됩니다.

1) 신청 절차

  1. 전기차 구매 계약 체결: 자동차 제작·수입사와 구매 계약을 맺습니다.
  2. 보조금 신청: 제작·수입사가 환경부의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을 통해 보조금을 신청합니다.
  3. 서울시 심사 및 대상자 확정: 서류 심사 후 보조금 지원 대상자를 확정합니다.
  4. 차량 출고 및 등록: 지원 대상자로 확정된 후 10일 이내에 차량을 출고 및 등록해야 합니다.
  5. 보조금 지급: 차량 출고 및 등록이 완료되면 제작·수입사가 보조금 신청서를 제출하며, 이후 서울시에서 제작·수입사로 보조금을 지급합니다.

2) 신청 시 유의사항

  • 출고 가능 여부 확인: 보조금 신청 후 2개월 이내 출고 가능한 차량만 신청 가능합니다.
  • 재지원 제한 기간:
    • 승용 및 승합차: 2년 이내 중복 신청 불가
    • 화물차: 5년 이내 중복 신청 불가
  • 필수 서류 준비: 신분증, 차량 구매 계약서, 사업자 등록증(법인 신청 시) 등의 서류를 사전에 준비해야 합니다.

 

전기차 구매 시 보조금 활용이 필수!

서울시의 전기차 보조금은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을 확대하고 전기차 구매 부담을 낮추기 위한 중요한 지원 정책입니다.

전기차를 고려 중이라면 보조금 혜택을 최대한 활용해 경제적인 차량 구매를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보조금 관련 최신 정보는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 또는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