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언어발달이 또래보다 느려 고민이신가요? 정부에서는 언어발달 지원사업을 통해 매월 바우처를 지급하고, 전문기관에서 언어치료와 진단을 받을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특히 일정 소득기준 이하의 가구에서 장애를 가진 부모가 있는 만 12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사설 기관에서도 사용 가능한 월 최대 22만 원 상당의 이용권(바우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1. 지원 대상은 누구인가요?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조건 항목 | 세부 내용 |
---|---|
연령 조건 | 만 12세 미만의 아동 |
부모 장애 여부 | 부모(또는 조부모)가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자폐성, 뇌병변 등록장애인일 경우 |
소득 기준 |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 |
중위소득 120% 건강보험료 기준 (2024년 기준)
가구원 수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
2인 | 162,843원 | 147,103원 |
3인 | 206,837원 | 187,163원 |
4인 | 247,170원 | 205,217원 |
5인 | 290,113원 | 235,573원 |
2. 어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
이용자는 복지관, 언어치료소, 사설 기관 등 지정된 곳 중 원하는 기관을 선택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항목 | 내용 |
---|---|
언어발달진단 | 전문가가 아동의 언어 상태를 분석하고 보고서 제공 |
언어재활치료 | 정기적인 언어 자극, 표현력 향상 교육 |
독서지도 | 책을 활용해 언어자극 및 문해력 개선 |
수화지도 | 청각장애 부모 자녀 등을 위한 수화 활용 지도 |
3. 바우처 금액 및 지급 방식
지급 금액 | 지급 형태 | 이용 기간 |
---|---|---|
월 16~22만 원 상당 | 이용권(바우처) 형태로 지급 | 최장 만 12세까지 지원 가능 |
※ 실제 금액은 지자체 여건 및 예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4.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장애인 등록증 등 구비서류 지참
- 소득 조건 및 자격 조건 심사 후 자격 확정
- 자격 확정 후 바우처 발급
5. 문의처 안내
기관명 | 연락처 |
---|---|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유선전화 및 모바일 가능)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 | 방문 또는 전화 문의 |
6. 자주 묻는 질문 (FAQ)
Q. 우리 아이가 아직 언어 진단을 받지 않았는데 신청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언어발달에 지연이 의심되는 경우에도 신청이 가능하며, 바우처를 활용해 언어진단서비스부터 이용할 수 있습니다.
Q. 바우처를 사용할 수 있는 기관은 어디인가요?
거주지 관할 시·군·구에서 지정한 기관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지정 기관 목록은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www.bokjiro.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바우처는 자동 갱신되나요?
아닙니다. 바우처는 일정 기간마다 갱신 심사를 거쳐야 하며, 자격이 유지되는 경우에만 계속 지원됩니다.
7. 우리 아이, 언어발달 지연일까요? 체크리스트
언어발달 지연은 조기에 발견하고 개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아래는 연령별로 흔히 나타나는 언어지연 신호입니다.
연령 | 주의할 언어 발달 지연 신호 |
---|---|
18개월 이전 | 단어를 거의 말하지 않음, 사람과의 눈맞춤이 부족함 |
24개월 전후 | 두 단어 이상 문장을 만들지 못하거나 질문에 반응이 없음 |
36개월 전후 | 가족 외 사람들과의 의사소통이 어려우며, 발음이 지나치게 부정확함 |
위 항목 중 2개 이상 해당된다면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바우처를 통해 진단과 상담을 받을 수 있으니, 지원 사업을 적극 활용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8. 바우처 사용 가능한 기관은 어디인가요?
언어발달 지원 바우처는 지정된 기관에서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아래 방법을 통해 내 주변 바우처 사용 기관을 확인해 보세요.
- 복지로 홈페이지 (www.bokjiro.go.kr) → '서비스 찾기' → '바우처 서비스 제공기관 조회'
- 주소지 주민센터 방문 또는 전화 문의 시 상세 리스트 제공 가능
- 시·군·구청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도 확인 가능
지정 기관에는 복지관, 언어치료센터, 언어재활클리닉, 일부 사설언어치료실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관마다 대기 기간이나 치료 방식이 다르므로 사전 확인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9. 함께 받을 수 있는 아동복지 지원사업
언어발달 지원 외에도 자녀가 받을 수 있는 다양한 복지제도가 존재합니다. 아래는 연계 가능한 주요 제도입니다.
사업명 | 주요 내용 |
---|---|
아동발달지원계좌(디딤씨앗통장) | 정부가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액에 1:1 매칭 지원하여 자립자금 마련을 돕는 제도 |
아이돌봄 서비스 | 맞벌이 등 돌봄이 필요한 가정에 시간제/종일제 돌봄 서비스 제공 |
장애부모 가족지원 | 장애인 부모를 둔 자녀 가정에 상담, 양육 지원, 돌봄 연계 등 서비스 제공 |
10. 이런 가정이라면 꼭 신청해 보세요!
- 아이가 또래보다 말이 늦고 단어 수가 적은 경우
- 부모님 중 한 명 이상이 등록 장애인이신 경우
- 언어치료는 받고 싶지만 진료비 부담이 큰 가정
- 아동의 언어 상태를 전문가에게 정확히 진단받고 싶은 경우
언어는 표현력뿐 아니라 사회성, 학습능력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늦기 전에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언어는 아이의 자신감과 사회성의 기초입니다. 말이 늦다고 혼내기보다, 지금 바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의 언어발달지원 바우처를 통해 우리 아이의 밝은 미래를 준비해 보시기 바랍니다.